파이썬의 기본 용어 정리
※ 처음 보는 단어들이 너무 많이 나온다면 “그냥 이런 것 들이 있구나.”하면서 살펴보시고 살짝만 기억에 남겨주셔도 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구성요소는 표현식 문장 키워드 주석 식별자이다. 이제 이 용어들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겠다.
표현식과 문장
파이썬에서는 다음과 같이 값을 만들어 내는 간단한 코드를 표현식이라고 부릅니다.
10
10+20
“hello world”
표현식(Expression) : 값을 만들어 내는 코드
문장(Statement) : 표현식이 하나 이상 모인 것
표현식이 하나 이상 모이면 문장이 되는데, 파이썬은 한 줄이 하나의 문장이 됩니다.
그리고 문장이 모여서 프로그램이 됩니다. 따라서 표현식이 모여 문장을 이루게 되고 문장이 모여 프로그램이 되는 것입니다.
키워드
키워드(keyword)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제공되는 특별한 단어이다.
파이썬은 키워드들의 집합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프로그램에서 변수로 사용될 수 없다.
※파이썬 내의 모든 키워드는 대소문자 구별을 한다. 따라서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보시는 것과 같이 cmd창을 실행하고 (윈도우키 + R을 누르고 cmd라고 입력 후 확인)
python <- 을 입력해 파이썬을 실행해준다.
>>> 이라고 보이는 커맨트 창이 나오게되면 파이썬이 실행된것이다.
import keyword를 입력해 키워드를 가져오고
keyword.kwlist 명령어를 사용해 파이썬에 내제되어 있는 키워드를 확인 할 수 있다.
지금은 이런 키워드들이 있구나 하고 한번 살펴봐주고 넘어가주면 되겠다.
식별자
식별자(Identifier)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주로 변수 또는 함수 이름 등으로 사용됩니다.
식별자 기본규칙(이것은 기억해주길 바란다.)
식별자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켜서 만들어야 합니다.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 된다.
○특수 문자는 _만 허용된다.(a~z, A~Z, 0~9, _ 사용가능 단 숫자로 시작할 수는 없다.)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된다.
○공백을 포함할 수 없다.
※아직은 코드를 입력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이해가 어렵다면 그냥 읽어주고 넘어가기로한다.
스네이크 케이스와 캐멀 케이스
식별자에는 공백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I am a student를 식별자로 인식시켜주려고 할 때
iamastudent라고 공백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붙여서 쓰게되면 알아보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i_am_a_student (스네이크 케이스방식)
또는 IAmAStudent (캐멀 케이스방식) 처음 시작하는 부분을 글자를 대문자로 입력해주게 된다.
스네이크케이스가 단독으로 사용되면 변수를 의미하게 된다.
스네이크케이스 뒤에 ()가 같이 있게 되면 함수를 의미하게 된다.
캐멀케이스는 클래스를 의미하게 된다.
주석
주석(comment)은 프로그램의 진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코드로,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데 사용합니다.
파이썬은 주석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부분 앞에 ‘#’ 기호를 붙여 주석 처리 합니다.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 부여된 부부은 프로그램의 진행과 어떠한 상관도 없다.
연산자
연산자는 스스로는 아무 의미가 없지만 값(value)과 값(value) 사이에서 어떠한 작용을 하는 것을 연산자라고 한다.
'For My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파이썬(Python) 가상환경 만들기 venv (0) | 2018.08.19 |
---|---|
2. pip 패키지 관리자 (0) | 2018.08.18 |
1.(1) 파이썬(Python) 설치 2 (0) | 2018.08.17 |
1.파이썬(Python) 설치(1) (0) | 2018.08.17 |
intro (0) | 2018.08.16 |